본문 바로가기

공부/기타6

[Mac] 한영전환을 키맵핑으로 해결하는 방법(hidutil을 사용한 방법. 삭제 포함) hidutil이라는 맥 내장 앱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hidutil은 단순 키맵핑을 하기 위한 앱입니다. 이 방법을 쓸 경우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으면서 심지어 한영전환의 딜레이도 해결하고, 프로그램 추가설치 없이 해결하는 것을 원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저같이 말이죠) 저는 이미 키보드와 마우스를 로지텍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카라비너를 사용할 필요를 크게 못느끼고 있었는데요, 이 때문에 단 한 개만 키맵핑을 하기 위해서 또 새로 뭔가 깔아서 쓰기엔 좀 그래서 이 방법을 아주아주매우매우 애용합니다. 이 방법만의 단점이라기보단 이 방법을 포함해 카라비너등 각종 키맵핑을 이용한 방법의 단점이라면 affinity designer같은 특정 앱에서 f19가 입력되는 것으로 간주해서 한영전환.. 2024. 3. 30.
[Mac] 영어 연속입력 설정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영어 연속입력이 가능해집니다. defaults write -g ApplePressAndHoldEnabled -bool false 입력하고 로그아웃하고 다시 로그인 or 재부팅을 하면 그때부터 적용됩니다. 2024. 3. 29.
[Mac] 숨김 파일 보이게 하기 맥에서 숨김파일을  보는방법은 `shift + cmd + .`입니다.하지만 이렇게하면 매번 숨김파일을 보고 싶을 때마다 매번 눌러줘야 하는데요, 그래서 아예 숨김파일을 기본적으로 볼수 있게 해봅시다.우선 터미널을 키고 아래 명령을 입력해봅시다.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TRUEFinder 응용프로그램에서 모든파일을 보여지도록 하는 것을  디폴트로 설정한다라는 명령어입니다. 반대로 하고싶으면 마지막에 `TRUE`대신 `FALSE`를 입력해주면 됩니다.간단하죠? 2024. 3. 6.
[Mac] iTerm2, oh my zsh 설치 및 삭제, agnoster테마 설정 저도 이곳을 참고해서 설치했습니다~ 우리는 agnoster 테마를 설치하기 위해 아래 작업들을 해줄겁니다. agnoster 테마를 쓰면 터미널에서 git을 쓸때 매우 편리해진다고 합니다. 그전에 앞서 일단 iterm2랑 oh my zsh랑 뭐가 다른건지, 뭔 역할인지, 이걸 설치하면 뭘 할수 있는건지 건너뛰고 그냥 냅다 설치하는것만 알려줘서 우선 구글 Geminai에서는 아래와 같다고 해요. iTerm2 vs oh my zsh iTerm2는 기본 터미널 에뮬레이터를 대체하는 강력한 터미널 프로그램입니다. 탭 기능: 여러 터미널 세션을 쉽게 관리 분할 창: 한 창에서 여러 터미널 세션 동시 실행 드래그 앤 드롭: 텍스트 및 파일 쉽게 이동 스크롤백: 과거 명령어 및 출력 확인 커스터마이징: 테마, 폰트, .. 2024. 3. 4.
[디자인] 타이포그라피(Typography) 서양은 경필, 동양은 연필 문화를 가진다. 경필 : 딱딱한 글씨, 펜으로 글을 쓰는 문화. 연필 : 부드러운 글씨, 붓으로 글을 쓰는 문화. 타이포그라피의 4가지의 라인 위에서부터 Ascender : X-height를 초과한 높이. X-height : 소문자의 머리위를 가로지르는 선. Baseline : 글자가 나열되는 기준선. Descender : Baseline 밑으로 나온 부분. Serif(세리프) 삐침이 있는 폰트. 고전적인 느낌을 준다. 한국어로 치면 궁서 같은것 San Serif(산 세리프) 삐침이 없는 폰트. 깔끔해보인다. 한국어로 치면 고딕 같은것 Weight(두께) 폰트의 두께는 ultra thin thin light roman medium bold 순서로 굵어진다. Size(크기) 글자.. 2023. 12. 11.
[Mac] 애플 실리콘 맥에서 Homebrew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1. 설치 공식 사이트를 들어가면 바로 메인에 나와있습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위의 명령을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설치가 시작되고 잠시 뒤 return이나 enter를 눌러 계속하겠냐고 물어보는것과 비밀번호를 요구합니다. 전부 입력하고 나면 순조롭게 설치가 됩니다. 2. 환경변수 설정 끝나고 난뒤에 path를 추가로 설정해 줘야됩니다. 터미널에서 아래 두개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echo "eval "$(/opt/homebrew/bin/brew shellenv)"" >> ~/.zshrc source ~/.zshrc 아래 명령줄을 터미널에 입력하고 정상적으.. 2023. 11.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