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기타

[디자인] 타이포그라피(Typography)

by 초코팅촉 2023. 12. 11.
728x90

서양은 경필, 동양은 연필 문화를 가진다.

경필 : 딱딱한 글씨, 펜으로 글을 쓰는 문화.

연필 : 부드러운 글씨, 붓으로 글을 쓰는 문화.

 

타이포그라피의 4가지의 라인

위에서부터 

Ascender : X-height를 초과한 높이.

X-height : 소문자의 머리위를 가로지르는 선.

Baseline : 글자가 나열되는 기준선.

Descender : Baseline 밑으로 나온 부분.

 

Serif(세리프)

삐침이 있는 폰트.

고전적인 느낌을 준다.

한국어로 치면 궁서 같은것

 

San Serif(산 세리프)

삐침이 없는 폰트.

깔끔해보인다.

한국어로 치면 고딕 같은것

 

Weight(두께)

폰트의 두께는

ultra thin

thin

light

roman

medium

bold

순서로 굵어진다.

 

Size(크기)

글자의 크기는 Ascender부터 Descender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기울임

기울임의 종류에는 Italic, Oblique 두가지가 있다.

Italic은 이탤릭체를 기울인것이고

Oblique는 그냥 단순히 글자를 기울여쓴것을 의미한다.

 

모노페이스

모든 글자가 같은 가로 너비를 갖는것을 의미한다.

 

Typeface(타입페이스)

글꼴 그자체.

 

Font(폰트)

타입페이스가 굵기별로, 기울임별로 전부 모여있는 세트를 폰트라 한다.

 

Readability(가독성)

줄글을 읽고 이해하기 쉬운 정도.

 

Legibility(이독성)

글에서 한 글자씩 판독하기 좋은 정도.

 

Kerning(자간)

글자사이의 가로 간격

 

Leading(행간)

줄글의 행끼리의 (세로) 간격

 

Line Length(줄길이)

한줄의 글에 몇글자로 이루어져있나를 의미.

일반적으로 본문은 글씨가 작아 30~50글자가 읽기 좋은 정도.

 

Purpose(목적)

글의 목적. 글의 목적에 맞게 글씨체를 써야한다.

예를들면 헤드라인과 본문도 차이가 있을것이고, 정보전달글과 여행 리뷰글은 다를수 있겠죠?

 

Spacing(간격)

문단사이 > 글줄사이 > 글자사이 로 간격이 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