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wift] Swift 패키지 만들기(Sourcetree 사용)

by 초코팅촉 2025. 4. 18.
반응형

이번글은 직접 만든 Swift 패키지를 SPM을 통해 쓸수 있도록 Github에 올리는 일련의 과정들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후...

기나긴 삽질끝에 겨우 성공했습니다...

 

SwiftUI 패키지를 만들어볼까 해서 하고있었는데 말이죠,

다른 글에서 하라는대로 하고 얼추 만든다음에 "한번 불러와보자!" 해서 테스트용 프로젝트 만들어서

깃에서 링크 갖고와서 넣었더니 글쎄 아예 안되더라고요?

별짓을 해도 안되길래 일단 기존 프로젝트는 그대로 두고 새로 만들어서 삽질을 하다보니 결국 방법을 알아냈습니다!

저는 git 관리를 소스트리를 이용해서 하는편이라 xcode와 소스트리 기반으로 설명해드릴겁니다.

제가 쓰는 환경이 GUI라 만약 터미널로 작성하신다고 해도 바로 이해가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차근차근 따라와보시죠!

 

1. Xcode로 라이브러리 생성

xcode상단 메뉴 > File > New > Package... 을 선택해주시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Library를 선택해 주시면 라이브러리를 만들수 있습니다.

다음 Next를 누르면 Testing System을 어떤걸 사용할건지 물어봅니다.

None, XCTest, Swift Testing 세가지 중에 편하신걸로 골라서 선택하시면 됩니다.

라이브러리를 생성할 폴더를 선택해주신 다음에 폴더를 열어보면

이렇게 폴더 2개, 파일 2개가 만들어집니다.

저는 숨긴파일 및 폴더 보기를 해놔서 안보여야 될것도 저렇게 diable상태로 보이는데,

아마 여러분이 설정을 안해놓으셨다면 Sources 폴더와 Package.swift 파일만 보일수 있습니다.

근데 우리는 이 친구들 전부 옮겨야 하므로 이글을 보고 숨긴내역을 볼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해줍시다.

 

2. Sourcetree 연결하기

우선 깃허브에 레포는 만들어놨다는 가정하에 글을 진행하겠습니다.

소스트리에서 New > Clone from URL로 배포용으로 사용할 레포 주소를 넣어 컴퓨터에 로컬 레포를 만들어줍시다.

이때 주의할 점은 1번에서 만들어둔 패키지명과 동일하게 폴더를 만들고 클론을 받으셔야 합니다!

 

3. 내용물 옮기기

아까 만들었던 패키지에서 위 네가지 파일과 폴더를 그대로 클론받은 폴더에 복사해줍시다.

그러면 클론 받은 폴더의 구성이 이렇게 바뀔텐데요, SPM은 기본적으로 tag를 기준으로 버전 관리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작업을 마치고 소스트리에서 tag를 생성해서 리모트에 push를 해주고, 깃허브에서 해당 tag로 Release를 해줍니다.

그럼 이런식으로 Release가 생깁니다.

해당 레포의 url을 복사해서 쓰고싶은 프로젝트에서 바로 적용해보면 아래처럼 성공적으로 찾아서 적용이 됩니다.

 

 

이제 여러분도 SPM으로 받을 수 있는 패키지를 깃허브에 배포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